KWMBLOG
내가 이 명령어를 알기전에는서버에 업,다운로드는 무조건 ftp만 되는줄 알았다. rz :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명령어이다.sz : 서버에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명령어이다. 일단 이 명령어를 사용하려면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서버에는 이미 설치가 되어있어서이렇게 나온다.rpm -qa | grep lrzsz를 입력해서 아무것도 안나온다면yum install lrzsz를 입력하여 설치해준다. rz는 업로드를 하는 명령어이다.rz를 입력하면 위 이미지와 같은 창이 나타나고,여기서 업로드 할 파일을 선택해서업로드 해주면 된다. 업로드를 하면 일반파일권한 (644)로 올라가고,소유권은 명령어를 실행한 계정것으로 잡힌다. sz는 파일을 다운받는 명령어이다.sz 파일명을 입력하면 위 이미..
파일을 압축하는 명령어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ar : GNU 버전 tar 압축기옵션c : 새로운 압축파일을 만드는 옵션이다.v : 압축 과정을 보여준다.f : 파일을 저장한다.z : gzip으로 압축하거나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풀어줄 때 쓰는 옵션이다.j : bzip2로 압축된 파일을 풀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C : 압축 풀어줄 경로를 지정해 준다. 나는 압축 명령어 중 이 명령어를 가장 많이 쓴다. 우선 압축하는 방법이다.tar cvf 압축파일이름.tar 압축할 파일/디렉토리이렇게 사용하고,예제처럼 뒤에 gz을 붙이고 싶다면cvfz 로 하면 된다.v는 딱히 없어도 상관없다. 다음은 압축 해제 하는 방법이다.tar xvf 압축파일명.tar여기에 압축파일 뒤에 gz가 붙어있다면 z 를 붙여주면..
wget은 한두번써보면 바로 감잡는 명령어이다.간단간단하다. wget : 외부 링크에서 서버로 파일을 다운 받을 때 사용한다.옵션-c : 이어받기 기능을 하는 옵션이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옵션이 여러가지가 있지만하나밖에 안써봐서 하나만 설명한다. wget [링크] 의 형식으로 사용되며,위 이미지는 내 네이버 블로그의 어떤 포스트를링크로 걸어놓은 것이다.이런식으로 얼마나 다운이 됐는지,어디에 접속해서 가져오는지 등 정보를 보여주고,다운받아 온다. 일부러 없는 파일을 다운받으라고 명령어를 입력했다.파일이 없으니 404에러를 찍고 다운받지 않는다. -c 옵션을 사용하여 다운받으면 이어받기가 가능해진다.위 이미지로만 봐서는 이게 진짜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알 수가 없다. 이건 그냥 직접 해보는게 제일 좋다. doc..
이 명령어는 엄청난 귀찮음을 동반한다.일단 주로 사용하는 옵션들을 나열해본다. rpm :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수동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이다옵션-i : 패키지를 설치한다.-U :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 -h : 패키지를 설치할때 #을 표시한다.-v : 설치상황을 보여준다.-q : rpm 질문 옵션이다.-qa :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보여준다.-qf : 파일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qV : 패키지 무결성을 검사한다.--nodeps : 패키지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강제로 삭제한다.--force : 패키지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강제로 설치한다. 나는 이 옵션들만 사용한다.이번 글에서는 설치하거나 삭제하는 예제는실제로 운영중인 서버이기 때문에 보여줄 ..
개인적인 의견으로는yum설치가 훨씬 낫다고 본다.(안귀찮거든) yum : Yellow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자동으로 패키지를 설치해 주는 명령어이다.옵션install : 패키지를 설치해준다.remove : 패키지를 삭제한다.update :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list : yum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확인한다.search : yum 서버에서 패키지를 찾을 때 사용한다.check-update :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yum은 사용하기도 편리하게 되어있다.yum [옵션] 데몬명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자기 알아서 의존성을 체크하고 그 파일들 까지 설치를 해준다. 하지만 이게 장점이자 단점이다. install이나 update 옵션을 사용하면 주로 보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