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운영참고 (10)
KWMBLOG
message 로그를 확인하다가 보게 되었다.마운트 횟수가 너무 많아 나오는 warning 문구.궂이 신경안써도 될 것 같지만, 계속 놔두면 리부팅시 오래 걸릴 수 있다.(이유는 https://kwmblog.tistory.com/50?category=769751 글에서 확인)메시지 로그에 기록된다. 현재 maximum 이 얼마나 되는지 부터 우선 확인해 본다.tune2fs -l [해당파티션] | grep ^M 현재 Mount count가 Maximum 값을 훨씬 초과했음을 알수있다.그럼 이제 Mount count를 초기화 해본다.e2fsck -p [해당파티션] mount가 되어있어서 실행되지 않는다. 마운트를 풀어주고 다시 실행하면위 이미지 처럼 뜬다.다시 확인 명령어를 입력하면Mount count가 0..
서버에서 가끔 백업자료를 받아 저장하는데 ,보안때문에 sftp를 쓰기 껄끄럽고,심볼링 링크를 걸어봐야 이동도 되지 않는다. 우선 계정내에 사용할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해준다.mkdir /home/abc/backup 그 후 아래 명령어 대로 입력해준다. # mount --bind 디렉토리 링크를 걸어줄 디렉토리ex)mount --bind /backup /home/abc/backup 위 명령어 입력후 backup으로 이동하면 원래 백업디렉토리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수있다. ftp프로그램에서도 이동하는데 아무런 제한이 없다. 사용이 끝나면 mount를 해제한다. # umount 링크건 디렉토리ex) umount /backup/home/abc/backup 입력후 다시 계정내 백업으로 들어가보면 텅 빈 디렉토리인 것..
mount, unmount 를 자주 하는 경우디스크 검사를 해야 하는데,안하고 가만 냅두면 리부팅할 때강제로 체크해버린다. 이러면 부팅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검사없이 부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리부팅 하기 전tune2fs -c 0 -i 0 /dev/파티션을 입력한 뒤 리부팅을 하면 된다. 이 명령어는 mount count를 초기화 하는 명령이다. 그렇다고 체크를 너무 안해도 문제가 되니시간날 때 체크를 해주면 된다. 실제로 rc.local에 저 명령어를 넣어둔 고객사는경고문구 한번 보지 못한채파일시스템이 깨졌었던 적이 있다. 3줄 요약부팅시 강제로 파티션을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mount count를 초기화 해주면 된다.너무 남용해면 안된다.
우선 dmesg가 왜 필요한지 부터 살펴본다. 컴퓨터가 처음 부팅될 때 커널이 메모리로 불러 들여진다. 이 단계에서 커널에 내장된 각 장치 드라이버가 해당 하드웨어를 탐색한다. 하드웨어를 발견하면 정확하게 무엇을 발견했는지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커널 내 다른 요소도 특정한 모듈의 존재 여부와 전달된 매개 변수 값을 출력한다. 그 메시지를 얼마나 자세하게 출력할지 제어하는 부팅 매개 변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장치드라이버나 하드웨어를 점검하고dmesg에 기록한다. 이 메세지는 너무 빨리 지나가서보기 힘들 수 있지만, dmesg를 입력해서grep이나 다른 것을 이용하여 볼 수 있다. 원래는 부팅할 때 점검내역이라던지하는 것들이 로그에 남게되지만부팅이 끝난 후에 추가적으로 기록이 될 때가 있다.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