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운영 (5)
KWMBLOG
커널 업데이트를 진행하다 보면 /boot 쪽에 계속 저장이 된다.만약 /boot 따로 쪼개서 쓰고있다면 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필요한 툴이 있는지부터 확인해본다.rpm -qa | grep yum-utils 설치 안되있으면yum install yum-utils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해 준다. package-cleanup --oldkernels --count=2를 입력해준다.아래는 사용한 옵션의 설명이다. --oldkernels : 오래된 kernel과 kernel-devel 패키지를 제거 --counts=KERNELCOUNT : 시스템에 남겨놓을 커널이미지의 갯수 --keepdevel : kernel-devel 패키지는 삭제하지 않고 kernel 패키지만 제거 삭제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rpm -q ..
1편에 이어서 진행한다. 3. HeartBeat 설치 및 설정yum install heartbeatyum 명령어로 heartbeat에 설치한다.그리고 여기서도 따로 얘기가 없는 한두대 다 동일하게 세팅해준다. 3.1 설정파일 복사/usr/share/doc/heartbeat-3.0.4 경로에 있는ha.cf, haresources, authkeys 이 세개의 파일을 /etc/ha.d 로 복사한다. 3.2 authkeys 설정/etc/ha.d/authkeys를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여기서 auth 3은 index 호출이다.3 md5 auth 에서 맨 앞의 3이 index이다. 나머지 1, 2 에 해당하는 내용은 주석문에도 적혀있듯이 sha1 이 가장 좋고, md5가 그 다음으로 좋고, crc는 마지막이..
이거 하면서 얼마나개고생 + 삽질을 해댔나 모르겠다.미래의 나를 위해 혹은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위해서 일단 작성한다. 1편에서는 기본설정, DRBD 설치,DRBD 테스트 까지만 작성한다. DB 이중화 작업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여기서는 DRBD + HeartBeat + mon 을 이용하여구성해 볼 것이다. 이것도 원래 안하고 있다가예전에 회사 DB서버가 터지는 바람에밤 열한신가에 겨우 퇴근한 기억이 있어서바로 건의했고, 작업을 하게됐다. 우선 설치한 서버 환경이다. active server : 192.168.1.2stanby server : 192.168.1.5virtual ip : 192.168.1.10서버 OS : CentOS 6.5 64bitmysql : 5.0.77 mysql 버전이 좀 많이 낮다..
작업을 다하고 umount를 할때device is bysy라고 뜨면 그건 그 파티션을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있거나,그 파티션에서 작업하는 다른 유저가 있거나,현재 위치가 그 파티션일 경우이다. 1. 파티션을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있을 때어떤 프로세스인지 확인하고,종료를 시켜주던지kill -9 PID를 입력해서 종료시켜버리면 된다. 2. 파티션에서 작업하는 다른 유저가 있을 때같은 공간에 있다면얘기해서 작업종료하고 하라고 하면 되지만아닐경우가 있다. fuser -v 파티션을 입력해서 사용하는 유저가 누가 있는지 확인 후kill -9 PID입력해서 종료시키면 된다. fuser -ck 파티션을 입력해도 되긴 하지만 이 이미지처럼 되기 싫으면 fuser -v 로 찾아서 삭제하는 편이 좋다. 서버 리부팅했다. 3. ..
아파치의 경우로 설명하겠다.아파치가 갑자기 종료가 되는 경우는 매우 많지만그 중 한가지라고 보면 된다. 아파치가 갑자기 중단되어다시 실행을 했을 때,아무 에러도 안나오고 실행이 된 척을 한다. 근데 프로세스를 보면 실행이 안되고 있다. 이럴 때는df -i를 입력해서 아이노드가 얼마나 사용중인지 확인해야 된다.파일의 갯수가 너무 많아도 문제가 된다.(리눅스는 까탈스럽다.) 지금 서버의 상황은 정상이다. for i in /디렉토리/*;do echo $i; find $i | wc -l;done을 입력해준다.여기서 디렉토리는 df -i를 했을 때,100% 차있는 디렉토리를 입력해주면 된다. 이미지처럼 결과가 나오는데 슥 훓어보고제일 숫자가 큰쪽으로 디렉토리를 잡아 계속 들어가보면 답이 나온다. 아파치의 경우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