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BLOG
어제 친구가 30만줄에서자기가 찾고싶은 것만 보고싶은데어떻게 해야되냐고 물어왔었다. 그래서 쓴다. grep : 특정 패턴을 검사하고, 정규표현식도 사용가능하다.옵션 -i :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c : 패턴이 일치하는 라인의 수를 출력한다.-v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출력한다.-n : 라인의 번호를 같이 출력한다.-l : 패턴이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같이 출력한다.-w : 패턴이 전체 단어와 일치하는 라인만 출력한다. egrep : grep의 확장판이라고 보면 되고, 정규표현식 역시 사용가능하다.fgrep : 정규표현식 사용이 불가능하며, 문자열로만 사용가능하다. 나는 grep을 쓸때 -v 말고는 다른 옵션을 쓰지 않는다.(-i 저거 좋아보이네) 테스트 파일 다섯개를 만들어 두..
이번에는 서버 대 서버로 복사하는방법에 대해 작성한다. 로컬에서 복사하는 방법은 요기https://kwmblog.tistory.com/24 서버 대 서버라고 해서 옵션이 달라지거나 하진 않는다.쓰는 옵션이 더 많아질 뿐이다. -e ssh : ssh 포트를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 받는 옵션이다.-e "ssh -p 포트번호" : ssh 포트가 22가 아닐경우 이렇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안 때문에 가린곳이 많다..만약 ssh 포트가 22라면rsync -av -e ssh 보낼파일 계정@ip:받을경로이렇게 하면 된다.22가 아니라면 이미지 대로 하면 된다. 위 예제 대로 한다면 매우 번거로워진다.rsync 한번 할때마다 ssh 비밀번호를 입력해줘야 되기 때문이다.ssh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도 ..
제목은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라고 썼지만,서버 대 서버로 복사도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로컬에서 사용하는 방법만 작성한다. rsync : 빠르고 다양한 복사툴이다. (man rsync 직역)옵션-a : 기존에 갖고있는 소유주, 권한 정보를 그대로 복사하는 옵션이다.-v :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옵션이다.-z : 데이터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옵션이다.--delete : 원본에 없으면 대상에서도 삭제하는 옵션이다.--bwlimit=속도 : kbyte 단위로 속도를 제한하여 복사하는 옵션이다.--exclude 경로 : 경로를 복사에서 제외하는 옵션이다.--include 경로 : 경로를 복사에 포함시키는 옵션이다.--progress : 복사되고 있는 상황을 자세히 보는 옵션이다. -z는 써본적도 없고 쓸 계획도 ..
이 명령어를 쉘스크립트 이외에는사용한 적이 없는 것 같다. wc : 파일의 라인 수, 글자수, 바이트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옵션-c : 바이트(byte)를 출력하는 옵션이다-l : 파일의 라인 갯수를 출력하는 옵션이다. (소문자 L이다)-w : 파일의 글자 갯수를 출력하는 옵션이다. 이번에는 실데이터가 필요해서 한달 전쯤 만든 쉘로 예를 들어볼까 한다. 저기서 wc -l을 썼던가.. 다른데서 썼던가..아무튼 쉘에서 몇번 썼던 기억이 있다. -c 는 파일의 byte를 나타내고,-l 은 파일의 라인 갯수를 나타내고,-w 는 파일의 글자 수를 나타낸다.나는 여기서 -l 옵션만 쓴다. wc는 알아두면 좋지만몰라도 크게 상관은 없지 싶다. 3줄 요약wc 는 파일의 라인 수, 글자수, 바이트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ln : 파일에 링크를 걸어주는 명령어, 기본값으로 하드링크를 걸어준다옵션-s : 심볼릭(Symbolic)링크를 걸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unlink : 심볼릭 링크를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여기서 심볼릭링크, 하드링크에 대한 것을 알아보고 넘어간다. 하드링크 : 링크로 접근을 하거나 원본에서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였다면원본과 하드링크가 걸려있는 파일 모두 수정되어 항상 같은 내용을 유지한다.각각 다른 개체로 인식한다. 심볼릭 링크 : 다른 파일의 경로를 가리키는 파일이기 때문에 실제로 접근을 하거나 수정을 하면 원본파일을 수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내용으로 유지하는 것 처럼 보인다.같은 개체로 인식한다. 무슨말인지는 아래 예제로 보면 된다. 우선 하드링크에 대한 예제이다.하드링크는 별다른 옵션없이l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