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BLOG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 cat, head, tail 본문

리눅스/명령어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 cat, head, tail

KWMBLOG 2018. 11. 29. 14:02

문서을 열어보는 것이 아닌

내용만 보는 방법이 있다.




cat : 문서를 보는 명령어이다.

옵션

  • -n : 라인수를 출력하여 보여준다.


head : 문서의 윗부분에서 부터 10줄까지 보여준다.

옵션

  • -n 숫자 : 숫자만큼의 라인만 보여준다.


tail : 문서의 아랫부분에서 부터 10줄까지 보여준다.
옵션
  •  -n 숫자 : 숫자만큼의 라인만 보여준다.
  • -F : 실시간으로 볼수 있게 하는 옵션이다.



head는 정말 사용률이 적은 것 같다.

cat, tail은 생각보다 자주 쓰인다.






우선 이전 글에서 사용했던 vi_test파일을

cat 명령어 아무 옵션 없이 열어보았다.


문서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이 그대로 다 출력된다.





여기서 -n 옵션을 사용하면

라인 넘버가 포함되여 출력이 된다.





cat 명령어는 문서끼리 덮어쓰기, 이어쓰기가 가능하다.

꺽쇠( > ) 가 한개 일때는 덮어쓰기,

두개 일때는 이어쓰기가 된다.


첫번째 실행한 내용은

vi_test 내용에 cat_test 내용을

이어붙이라는 명령어이다.


두번째 실행한 내용은

vi_test 내용에 cat_test 내용을

덮어쓰라는 명령어이다.





head 명령어는 위에서부터

10번째 줄 까지만 출력 해주는 명령어이다.


나는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





head의 -n 옵션을 사용한 방법이다.

n 뒤의 숫자만큼의 라인을 출력해준다.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출력해보면

문저의 맨 끝을 기준으로 10줄을 출력한다.





-F 옵션은 문서에 내용이 추가가 될때

바로바로 볼 수 있다.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실시간으로 확인해야 될 로그가 있다면

무조건 이걸 사용한다.


Ctrl + c 를 누르면 종료된다.





cat 으로 덮어쓰고 이어쓰고 할때도

꺽쇠의 방향을 잘 보고 엔터를 쳐야된다.


3줄 요약

문서의 내용을 보는데는 cat, head, tail이 있다.

cat으로 문서를 덮어쓰거나 이어쓰기를 할 수 있다.

tail은 로그 확인용으로 적절하고, head는 왜 있는거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