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BLOG
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주는 명령어 - df 본문
서버에 접속하면
제일 습관적으로 입력하는 명령어 중
하나이다.
그만큼 매우 자주 사용한다.
df : 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준다.
옵션
-a : 파일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
-i : 블럭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
-k : 숫자단위를 1KB 단위로 보여준다.
-T : 각 파일 시스템의 형태를 보여준다.
-t : 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빼고 나머지 모든 파일 시스템 정보를 보여준다.
-h : 숫자단위를 표시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단위로 보여준다.
여기서 내가 사용하는 옵션은
가끔 -i 도 사용하긴 하지만
-h, -T 를 제일 많이 사용한다.
-a 옵션을 사용하면
모든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i 옵션을 사용하면
아이노드 사용량을 볼 수 있다.
가끔 프로세스가 아무 이유 없이 죽을때
확인해 보면 여기가 100% 차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k 옵션을 사용하면
사이즈 단위가 kbyte로 나온다.
나는 거의 안쓰는 옵션이다.
-T 옵션은 파일시스템의
포맷형태를 보여준다.
df -Th 을 사용하면 사이즈 또한
깔끔하게 나와서 보기 좋다.
-t 옵션을 사용하면
찾고자 하는 포맷형태의 파일시스템을
찾을 수 있다.
df -t 포맷형태
-h옵션을 사용하면
표시할 수 있는 최대용량으로 표시된다.
제일 많이 사용한다.
파일시스템의 공간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해도 되지만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됐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해도 된다.
(그거나그거나?)
3줄 요약
df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의 공간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여러가지 옵션이 있다.
나는 -Th를 자주 사용한다.
'리눅스 >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연결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 netstat (0) | 2018.12.12 |
---|---|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명령어 - mount, umount (0) | 2018.12.04 |
패턴을 검사하는 명령어 - grep (0) | 2018.11.30 |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2 - rsync (0) | 2018.11.30 |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1 - rsync (0) | 2018.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