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MBLOG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삭제하는 명령어 - rpm 본문
이 명령어는 엄청난 귀찮음을 동반한다.
일단 주로 사용하는 옵션들을 나열해본다.
rpm :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수동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이다
옵션
-i : 패키지를 설치한다.
-U :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
-h : 패키지를 설치할때 #을 표시한다.
-v : 설치상황을 보여준다.
-q : rpm 질문 옵션이다.
-qa :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보여준다.
-qf : 파일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qV : 패키지 무결성을 검사한다.
--nodeps : 패키지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강제로 삭제한다.
--force : 패키지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강제로 설치한다.
나는 이 옵션들만 사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설치하거나 삭제하는 예제는
실제로 운영중인 서버이기 때문에 보여줄 수가 없다.
그 외의 예제들을 보여주고자 한다.
-Uvh를 하든 -ivh를 하든 설치는 되지만
업데이트는 -Uvh 만 된다.
yum은 데몬명으로 지울 수 있지만,
rpm은 패키지명을 알아야 한다.
패키지명은 위 이미지처럼 일단 뭐가 길다.
(저거 이론할때 알았는데 지금은 기억이 안난다.)
이런 식으로 패키지명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나온 패키지명을 가지고 삭제를 진행한다.
-e 옵션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해당 패키지는 지워진다.
만약 지워지지 않는다면 -e 뒤에 --nodeps를 붙여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강제로 삭제한다.
-qf 옵션을 사용하여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건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무결성 검사를 하는 방법이다.
아무 문제가 없거나 수정된 내역이 없다면
위 이미지 처럼 아무 것도 안뜨겠지만,
뭔가 수정된 내역이 있거나 문제가 있다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이거 뜨면 안되는데 왜뜨냐..
나는 rpm은 yum 서버에 없어서 어쩔수 없이 사용하는 경우빼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서봐야 삭제할때나 무결성 검사할때 정도?
3줄 요약
rpm은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강제로 설치, 삭제하는 방법도 있다.
나는 삭제할 때나 무결성 검사할 때 빼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리눅스 >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을 압축하는 명령어들 - tar, gzip, bzip2, zip (0) | 2018.11.30 |
---|---|
외부 링크의 파일을 다운받는 명령어 - wget (0) | 2018.11.30 |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삭제하는 명령어 - yum (0) | 2018.11.29 |
권한 변경해주는 명령어 - chmod, chown (0) | 2018.11.29 |
사용자 관리하는 명령어 - useradd, userdel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