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명령어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 - touch, cat, vi
KWMBLOG
2018. 11. 28. 17:15
간단하게 생성하는 방법만
적으려고 한다.
touch, cat, vi
이 명령어들은
각자의 기능이 다 따로 있다.
touch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무 내용 없는 파일이 생성된다.
man touch 로 설명을 보면
"파일의 시간 정보를 바꾼다"
라고 되어있는데,
나는 단 한번도 이 용도로 사용한 적이 없다.
또한 옵션을 사용해 본 적도 없다.
cat 명령어는 파일을 보기 위한 명령어 이기도 하지만
파일을 만들거나 초기화 할 수 있어서
사용 용도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이미지에 있는 방법으로 생성이 가능하다.
(/dev/null 은 초기화 할 때 주로 사용된다.)
vi 명령어는 문서 편집 명령어이다.
vi 파일명을 입력하면 임시파일이 생성되는데,
여기서 :w를 누르지 않고 :q 만 누르면
파일은 생성되지 않고 사라진다.
이렇게 입력을 해줘야
파일이 생성된다.
:(콜론)을 누르고 wq를 입력하면
저장 후 종료가 된다.
다른 생성 방법이 더 있을 수도 있지만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이 세가지 이고,
그 중에서도 주로 쓰는 명령어는 vi 이다.
3줄 요약
파일 생성에는 touch, cat, vi 등이 있다.
각각 용도가 따로 있다.
나는 주로 vi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