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관리하는 명령어 - useradd, userdel
처음 서버를 세팅하거나,
공용으로 쓰는 서버가 있다거나 하면
반드시 쓰게 되는 명령어이다.
useradd : 사용자를 등록한다.
옵션
-d : 사용자 홈 디렉토리를 별도로 지정할 때 사용한다.
-u[숫자] : UID 값을 지정한다.
-g[숫자] : GID 값을 지정한다.
-m : 홈 디렉토리를 새로 만들어 준다.
-k : skel 디렉토리에서 유저의 홈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p : 패스워드를 지정한다.
다른 경우는 모르겠는데,
나 같은 경우 저 옵션을 사용한 적이 없다.
(그래서 설명도 없다.)
없는 계정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당연히 없다고 한다.
여기서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이동하면
이동이 된다.
옵션에서 UID, GID 라고 적혀있는게 있는데,
/etc/passwd에 있는 512, 514가 각각 UID, GID 이다.
여기서 "저게 GID인지 어떻게 아냐?" 라고 할 수도 있다.
/etc/group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userdel : 사용자를 삭제한다.
옵션
-r : 삭제하려는 사용자의 정보를 전부 삭제한다.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삭제한다.
-r 옵션을 쓰지않고 그냥 삭제만 한 경우의 문제를
위 이미지에서 보여주고 있다.
사용했던 사용자의 데이터가 남아있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r 옵션을 사용하면 깔끔하게 지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그냥 삭제했다고 하면
/etc 안에 있는
group, passwd, shadow
/var 안에 있는
/var/spool/mail
여기 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각각 삭제해 주면 된다.
사용자의 정보를 깔끔하게 삭제하지 않으면
음... 예를들자면
전임자가 퇴사를 하고 신입사원이 계정을 받았는데,
전임자가 쌍욕을 써놨거나, 사적인 정보가 있었다고 하면,
신입사원한테 그대로 까발려져 버리는 것이다.
(보통은 계정을 겹치게 설정하지는 않는다.)
꼭 깔끔하게 삭제하라는건 아니다.
그 사용자 계정만이 작업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거나 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이런 부분은 잘 알아보고 작업하는 것이 좋다.
사실 여기서 더 설명할 것이 있지만
정리가 덜 되서 정리가 되는대로 수정하도록 하겠다.
3줄 요약
useradd는 사용자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userdel은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사용자 삭제는 상황에 맞게 하자.